이 tree명령어는 터미널 내 디렉터리 구조를 시각화하는 데 매우 유용한 도구로, 파일과 폴더를 트리 형태로 직관적으로 표시합니다.사용자는 숨겨진 파일을 포함하여 트리의 깊이를 조절하고, 나중에 참조할 수 있도록 출력을 저장하는 등 원하는 대로 뷰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이 글에서는 treeLinux 환경을 개선하는 이 명령어의 다양한 기능과 활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기본 구문 설치 및 사용 방법
모든 Linux 배포판에 이 tree명령이 미리 설치되어 있는 것은 아니지만, 패키지 관리자를 통해 빠르고 쉽게 추가할 수 있습니다.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Debian 또는 Ubuntu 기반 시스템의 경우 다음을 실행합니다.
- Fedora, CentOS 또는 RHEL을 사용하는 경우 다음을 입력하세요.
- Arch Linux 사용자의 경우 다음을 입력하세요.
sudo apt install tree
sudo dnf install tree
sudo pacman -S tree
설치 후 명령을 실행하는 것은 간단합니다.
tree

현재 위치의 디렉터리 트리가 표시되어 파일과 폴더의 명확한 계층 구조를 제공합니다.기본적으로 tree모든 콘텐츠를 재귀적으로 나열하지만, 이 동작을 수정하고 대상 디렉터리를 지정할 수 있는 플래그도 있습니다.
트리 뷰의 깊이 제어
많은 경우 디렉터리 트리 내에서 제한된 수의 레벨만 검토하고 싶을 수 있습니다.원하는 깊이를 지정하는 옵션을 사용하면 됩니다 -L.예를 들어, 디렉터리를 두 레벨만 보려면 다음을 시도해 보세요.
tree -L 2

이 명령은 다음과 같은 추가 플래그와 결합할 수도 있습니다.이 플래그 -d를 사용하면 정의된 수준까지만 디렉토리에 대한 출력이 제한됩니다.
tree -d -L 3
숨겨진 파일 및 폴더 포함
Linux에서는 점(.)으로 시작하는 파일이나 디렉터리는 숨겨진 것으로 간주되며 일반적으로 설정 파일입니다.기본적으로 는 tree이러한 숨겨진 항목을 표시하지 않습니다.숨겨진 항목을 표시하려면 다음 -a플래그를 사용하세요.
tree -a
이렇게 하면 숨겨진 구성 파일을 포함한 모든 디렉터리가 표시됩니다.숨겨진 파일을 포함하는 깊이를 제어하려면 다음과 같이 플래그를 조합할 수 있습니다.
tree -a -L 2

패턴으로 파일 필터링
특정 파일 형식을 검색하는 경우, 이 -P옵션을 사용하면 패턴을 기준으로 결과를 필터링할 수 있습니다.예를 들어, Python 파일만 나열하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합니다.
tree -P "*.py"
텍스트 파일에 대해 이를 수정하려면 다음을 사용하세요.
tree -P "*.txt"
패턴은 더 복잡할 수도 있습니다.예를 들어 “config”로 시작하는 모든 파일을 검색하려면 와일드카드를 사용하세요.
tree -P "config*"
--prune출력에서 해당 디렉토리를 제거하는 옵션을 추가하지 않는 한 빈 디렉토리는 계속 표시됩니다.
tree -P "*.py" --prune
사람이 읽을 수 있는 형식으로 파일 크기 표시
파일 크기를 바이트 단위로 표시하는 것은 종종 번거로울 수 있습니다.이 -h옵션은 파일 크기를 사람이 읽을 수 있는 값으로 포맷하여 이 문제를 해결합니다.예를 들면 다음과 같습니다.
tree -h

524288바이트 대신 512K로 표시되어 대용량 파일을 빠르게 식별할 수 있습니다.읽기 쉬운 크기로 두 단계 깊이를 함께 표시하는 것도 유용할 수 있습니다.
tree -hL 2
다른 명령과 트리 병합
Linux는 명령 통합에 탁월합니다.tree파이프( |)를 사용하여 출력을 다른 명령으로 전달할 수 있습니다.예를 들어, 큰 디렉터리를 다루고 있고 여유롭게 출력을 스크롤하려면 다음을 사용하세요.
tree /usr/lib | less

이렇게 하면 키보드를 사용하여 출력을 쉽게 탐색할 수 있습니다.또한, “admin”이 포함된 파일을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고 검색하려면 다음 명령과 함께 사용하십시오 grep.
tree -a | grep -i "admin"
트리 출력 저장 또는 내보내기
문서화 또는 참조를 위해 디렉터리 구조를 저장하는 것은 간단합니다.다음과 같이 출력을 텍스트 파일로 리디렉션할 수 있습니다.
tree > directory_structure.txt
대화형 HTML 페이지를 만들려면 다음 -H옵션을 사용하세요.
tree -H.> structure.html
모든 인터넷 브라우저에서 열어 디렉토리 구조를 편리하게 탐색할 수 있습니다.서식 있는 문서는 다음을 참조하세요.
tree -L 3 -a --dirsfirst > project_docs.txt
편리한 기능으로, 기존 파일에 출력을 추가할 수도 있습니다.
tree -L 2 >> documentation.txt
결론
이 tree명령어는 파일 시스템을 시각화하고 관리하는 강력한 유틸리티입니다.출력을 맞춤 설정하고 탐색 및 정리를 더욱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옵션을 제공합니다.더 자세히 알아보려면 터미널에 직접 입력 하거나 온라인 설명서를 참조하세요., , 와 info tree같은 다른 편리한 명령어를 활용하여 파일 관리 기능을 더욱 강화해 보세요.lsfinddu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