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inux 데스크톱을 커스터마이징하면 컴퓨팅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그중에서도 시스템 모니터링 기능으로 유명한 Conky가 자주 떠오릅니다. ElKowar’s Wacky Widgets의 약자인 EWW는 다재다능함으로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Conky와 달리 EWW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의 편의성을 바탕으로 시계, 시스템 모니터, 날씨 표시 등 다양한 동적 위젯을 만드는 데 탁월합니다.
EWW 이해하기
EWW는 Linux 데스크톱용으로 특별히 설계된 강력한 위젯 시스템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위젯을 제작하고 선보일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이러한 유연성 덕분에 기존 데스크톱 환경과 관계없이 날씨 예보, 음악 컨트롤, 기타 개인 맞춤 정보 등 다양한 구성 요소를 표시할 수 있습니다.
Rust로 개발된 EWW는 Lisp S-표현식을 연상시키는 Yuck이라는 고유한 구성 언어를 사용합니다.즉, 위젯 레이아웃을 제작할 때는 HTML이나 XML 파일 편집에 익숙한 사람들에게는 익숙한 구조화된 텍스트 형식을 사용해야 합니다.
EWW 내에서 위젯을 템플릿이나 컴포넌트로 정의하고 컨테이너 역할을 하는 창에 배치합니다. EWW는 웹 페이지의 디자인을 개선하는 데 사용되는 스타일 언어인 CSS/SCSS를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스타일을 적용합니다.이러한 통합을 통해 사용자는 글꼴, 색상, 간격과 같은 시각적 속성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고 CSS의 다재다능함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EWW 시작하기
EWW를 처음 접했을 때는 다소 벅찼지만, 몇 번 살펴보고 나니 꽤 쉽게 접근할 수 있었습니다.설치 방법은 다양합니다.배포판 저장소를 통해 EWW를 다운로드하거나 소스 코드에서 컴파일할 수 있습니다.설치 후 EWW를 설정하려면 몇 가지 기본 단계만 거치면 됩니다.
첫 번째 단계는 최소 두 개의 주요 파일을 포함하는 지정된 디렉터리를 구성하는 것입니다.하나는 위젯 정의(종종 eww.yuck으로 표시됨)를 위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스타일 지정(eww.scss 또는.css로 표시됨)을 위한 것입니다. Yuck 설정 파일은 위젯과 창의 개요를 정의하고, SCSS/CSS 파일은 스타일을 관리합니다.

구체적인 예를 살펴보면 EWW의 구성 구문을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예를 들어, 사용량 백분율을 표시하는 CPU 모니터 위젯이나 현재 시간을 표시하는 시계 위젯을 만드는 것은 간단합니다. EWW는 상자, 레이블, 이미지, 버튼 등 다양한 GUI 요소를 제공하며, 이러한 요소는 사용자 지정 위젯의 기본 구성 요소 역할을 합니다.

중요한 정보를 세로로 정리하는 “사이드바”라는 제목의 창을 정의하는 것을 고려해 보세요.해당 Yuck 구문은 다음과 유사할 수 있습니다.
(defwindow sidebar : monitor 0 : geometry (geometry: x "0%":y "0%":width "200px":height "100%":anchor "top left") (box: orientation "vertical" (widget1...) (widget2...)...))
이 예제에서는 모니터 0에 “sidebar”라는 창을 지정하고, 화면 왼쪽 상단에 고정하며, 지정된 너비와 높이를 갖도록 합니다.이 창 안에는 세로 상자가 있으며, 다양한 위젯이 포함되어 있습니다.위젯의 정의는 구성의 다른 곳에 저장됩니다.
EWW와 Conky 비교
2000년대 초부터 숙련된 동반자 역할을 해 온 Conky는 Lua 기능을 갖춘 C/C++로 제작된 경량 시스템 모니터로, CPU, RAM, 디스크, 네트워크 사용량과 같은 실시간 시스템 통계를 표시하는 데 주로 중점을 둡니다. Conky의 역할은 주로 수동적이며, 정보 표시를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EWW는 단순한 시스템 모니터링을 넘어 포괄적인 위젯 툴킷으로서 차별화됩니다.사용자가 미디어 플레이어, 슬라이더, 애플리케이션 런처와 같은 인터랙티브 요소를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더욱 다양한 창의적 가능성을 제공합니다. Conky가 주로 시스템 지표에 중점을 두는 반면, EWW는 필요에 따라 요소를 표시하고 숨길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여 다재다능한 UI 구성 요소를 쉽게 제작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두 도구 모두 텍스트 기반 구성을 사용합니다.하지만 Conky가.conkyrc 또는 Lua 파일 구조에 의존하는 방식은 EWW의 구조화된 Yuck 언어에 비해 시대에 뒤떨어진 것처럼 느껴질 수 있습니다. EWW의 Yuck 언어는 테마 설정 및 구성이 훨씬 용이하지만, Conky보다 초기 학습 곡선이 더 가파른 편입니다. Conky는 다양한 기존 테마를 활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기능 측면에서 Conky는 다양한 통계 표시에는 뛰어나지만 상호작용성이 부족합니다.반대로 EWW는 버튼, 슬라이더, 텍스트 입력을 지원하여 볼륨 조절이나 애플리케이션 실행과 같은 동작을 실행할 수 있는 상호작용 위젯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EWW와 함께한 나의 여정
EWW를 구성하기 위한 초기 노력은 상당한 실험과 연구로 점철된 난항을 겪었습니다.초보자는 유사한 도구 사용 경험이 있다면 이러한 학습 곡선을 더 수월하게 헤쳐나갈 수 있겠지만, 이번 경험은 제가 이 분야에 처음으로 진출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노력은 결실을 맺었습니다.설치 후 간단한 “Hello World” 위젯으로 시작하여 기본 토대를 다졌습니다.시간이 지나면서 RAM 사용량 모니터링, 배터리 잔량 표시, 시계 추가, 미디어 재생 추적 등 더 복잡한 프로젝트에도 착수했습니다. EWW 사용에 점점 더 익숙해지면서 새로운 위젯 하나하나가 완벽하게 작동했습니다.

놀랍게도, 제공되는 문서는 자세하고 EWW 관련 커뮤니티는 풍부한 지원을 제공합니다.처음에는 얄미운 문법에 쩔쩔맸지만, 샘플 구성을 통해 명확성을 찾았고, 결국 단 하루 만에 완벽하게 작동하는 첫 위젯을 성공적으로 구현할 수 있었습니다.
Linux 데스크톱을 맞춤 설정하는 것은 Windows 환경을 개인화하는 것만큼 간단하고 보람 있는 일일 수 있습니다. Linux 데스크톱을 맞춤 설정하는 여정을 시작하기 위한 영감을 얻고 싶다면 온라인이나 전문 커뮤니티에서 맞춤형 Linux 데스크톱을 살펴보는 것을 고려해 보세요.
답글 남기기